중대재해처벌법/위험성평가

동절기 아파트 공사현장, 이것만은 꼭 챙기세요! (질식/화재/붕괴 예방 중점 점검 가이드)

리베라움1 2025. 11. 20. 21:08
반응형

[건설안전 컨설팅] 동절기 아파트 공사현장, 이것만은 꼭 챙기세요! (질식/화재/붕괴 예방 중점 점검 가이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11월 말, 건설현장은 '동절기 안전관리' 체제로의 전환이 시급한 시점입니다. 특히 골조 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재개발 현장에서는 질식, 붕괴, 화재라는 '동절기 3대 악성 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실제 **부평** 재개발 정비사업 현장(11월 13일 기준 공정)**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일 당장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안전 컨설팅 가이드를 공유해 드립니다. 현장 소장님들과 안전관리자분들은 이 포스팅을 스크랩해 두시고 TBM(Tool Box Meeting) 시간에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목차

    1. 동절기 3대 핵심 위험요인 집중 관리 (질식, 붕괴, 화재)
    2. 공종별 세부 안전 점검 포인트 (골조, 데크, 설비, 토목)
    3. 장비 및 양중 작업 안전 수칙
    4. 성공적인 현장점검을 위한 팁(Action Plan)

1. 동절기 3대 핵심 위험요인 집중 관리

11월 중순 이후부터는 기온 저하로 인한 사고 위험이 급증합니다. 다음 3가지 항목은 타협 없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① 콘크리트 양생 질식 사고 (Silent Killer)

지하층 및 1층 바닥 타설 후 보온 양생 과정에서 갈탄이나 숯탄 사용 시 일산화탄소(CO) 중독 사고가 빈번합니다.

  • Check Point:
    • 갈탄 대신 열풍기 사용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 불가피하게 갈탄 사용 시, 밀폐공간 입구에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기를 비치하고 '출입금지' 표지판을 부착했는지 확인합니다.
    • 작업자 투입 전 환기 설비 가동 여부와 재해 예방 교육(TBM) 실시 여부를 점검합니다.

② 화재 사고 (용접 불티의 비산)

건조한 날씨와 강풍, 그리고 단열재 등 가연성 자재가 많은 현장 특성상 작은 불티가 대형 화재로 이어집니다.

  • Check Point:
    • 데크플레이트 용접(덕신이피씨): 용접 작업 하부층에 단열재, 포장지 등 가연성 물질이 방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작업 반경 내 소화기 비치화재감시자 상주 여부를 확인합니다.
    • 불티 비산 방지포가 빈틈없이 설치되었는지 점검합니다.

③ 양생 불량 및 거푸집 붕괴

낮은 기온으로 콘크리트 강도 발현이 늦어짐에도 불구하고, 공기 단축을 위해 거푸집 동바리를 조기 해체할 경우 붕괴 사고로 이어집니다.

  • Check Point:
    • 필러(Filler) 서포트 존치 기간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 거푸집 해체 전 현장 봉함 양생 공시체의 압축강도 시험 결과를 반드시 확인 후 작업을 승인해야 합니다.

2. 공종별 세부 안전 점검 포인트

🏗️ 골조 및 거푸집 공사 

현재 지하층 벽체/슬라브 및 지상 1층 바닥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 시스템 동바리: 층고가 높거나 하중이 집중되는 구간의 구조 검토 이행 여부를 확인하세요. 특히 가새(Bracing) 설치와 하부 지반 침하 방지 조치(깔판, 다짐)가 핵심입니다.
     
  • 거푸집 해체: 해체된 자재(유로폼, 파이프)가 통로에 방치되어 전도 사고를 유발하지 않도록 정리정돈 상태를 점검합니다.
  • 추락 방지: 슬라브 단부, E/A PIT, 계단실 등 개구부에 안전난간대가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데크플레이트 설치 

추락 위험이 가장 높은 공종 중 하나입니다.

  • 가고정 상태 이동 금지: 데크 판개 후 본고정(용접) 전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다 추락하는 사고가 잦습니다. "걸침길이 구간 미고정" 상태를 집중적으로 보셔야 합니다.
     
  • 안전대 체결: 2인 1조 작업 시, 생명줄에 안전고리를 체결하고 작업하는지 현장에서 즉시 확인하세요.

⚡ 기계/전기 설비

천장 배관 작업을 위한 고소 작업이 많습니다.

  • 고소작업대(렌탈): 과상승 방지봉이 정상 작동하는지, 상승 상태에서 주행하지 않는지 점검합니다.
  • 말비계 사용: 최상부 발판 사용을 금지하고, 아웃트리거 설치 상태를 확인합니다.
  • 근골격계 질환: 좁은 공간, 반복 작업에 따른 스트레칭 및 휴식 시간 부여를 권고합니다.

🚜 토목 및 가시설 

  • E/A 강선 제거: 강선 인발 시 잔류 장력으로 인해 강선이 튕겨 나가는 비래 사고를 막기 위해 접근 금지 조치 및 장력 해제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 띠장 인양: 해체된 띠장 인양 시 슬링벨트 손상 여부와 2줄 걸이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3. 장비 및 양중 작업 안전 수칙

중장비와 근로자가 혼재된 공간에서의 사고 예방 수칙입니다.

  • 타워크레인: 자재 인양 시 2줄 걸이 원칙을 준수하는지, 신호수와 조종사 간의 무전 소통이 원활한지 점검합니다.
  • 지게차: 자재 운반 시 전담 신호수 배치, 후방 경보장치 및 후방카메라 작동 여부, 운행 구간 내 근로자 통제를 확인합니다.

4. 성공적인 현장점검을 위한 팁 (Action Plan)

 현장 점검 시, 단순 지적이 아닌 '소통'을 통한 안전 문화를 만들어보세요.

  1. 근로자 의견 피드백 확인: 지난 회의에서 제기된 '1공구 1동 근로자 휴게실 부족''우천 시 1번 게이트 통행로 침수' 건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칭찬해 주세요. 이는 근로자들의 신뢰를 얻는 지름길입니다.
  2. 시각 자료 활용: 데크플레이트 미고정 구간이나 시스템 동바리 불량 사례 사진을 미리 준비하여 TBM 시간에 공유하면 경각심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감성 안전: 날씨가 추워진 만큼, 근로자들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와 함께 스트레칭을 독려하는 것이 안전사고 예방의 첫걸음입니다.

안전은 '타협'이 아닌 '원칙'입니다. 오늘 정리해 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무재해 현장을 만들어 가시길 응원합니다!

 

반응형

'중대재해처벌법 > 위험성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3) 2024.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