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현장작동성평가 2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 건설사업장 현장작동성평가 고득점 전략 가이드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지금 확인하기공공기관 건설사업장 현장작동성평가 고득점 전략 가이드 C.2.1. 건설발주현장 안전보건관리업무 체계 (배점: 20점) 1. 점검항목본 항목은 발주처(공공기관)가 건설현장 안전보건의 최종 책임자로서얼마나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을 주도적으로 운영하는지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2. 평가관은 단순히 서류 구비를 넘어, 아래의 질문에 대한 답을 현장과 서류에서 찾으려고 할 것입니다.시스템의 구체성: 발주처가 수립한 안전보건관리 매뉴얼이나 지침이 본사의 일반적인 내용이 아닌, 해당 건설현장의 공법, 규모, 위치 등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 '현장 맞춤형' 안전보건 관리계획으로 구체화되었는가? 3역할과 책임(R&R)의 명확성: 안전에 대한 책임을 시공사나 CM..

카테고리 없음 2025.09.29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1. 사업목적 □ 공공기관의 안전활동 수준을 전반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기관의 자율적 안전보건관리쳬계 구축을 통한 안전보건 수준향상을 유도합니다. 또한 안전보건에 대한 공공기관의 선도적인 역할을 통해 민간에도 안전보건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관련근거 : 공공기관의 안전활동 수준평가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24호) 공공기관의 안전활동 노력등 안전보건 수준을 경영평가에 반영(기획재정부)합니다. 평가내용으로는 P-D-C-A *관점에서 본평가와 현장 작동성평가로 구분하여 공공기관 유형,특성별 안전보건경영체제, 안전보건관리, 안전보건활동, 안전보건성과등을 평가합니다. *Plan(계획수립)-Do(실행 및 운영)-Check(점검 및 시정조치)-Action(개선) 2. 평..

카테고리 없음 2023.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