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3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지금 확인하기산업안전보건법은 작업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관리감독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관리감독자는 작업 전, 작업 중, 작업 후 각 단계에서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각 단계별로 관리감독자의 자세한 역할과 임무입니다. 1. 작업 전: 사전 준비 및 점검 1.1 안전 및 보건 점검작업 시작 전에 관리감독자는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 이는 기계, 기구, 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점검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며, 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보장합니다. 1.2 작업복 및..

카테고리 없음 2025.05.03

2024년 산업재해 현황

2024년 산업재해 현황 2024년 산업재해 현황지금 확인하기1. 사고사망자 현황 2024년(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589명(553건)으로 전년 598명(584건) 대비 9명(1.5%), 31건(5.3%)이 감소 1) 업종별 사망자 수 기준 전년 대비 건설업 감소, 제조‧기타업 증가 ▴건설업 276명(272건)으로 27명(8.9%), 25건(8.4%) 감소▴제조업 175명(146건)으로 5명(2.9%) 증가, 19건(11.5%) 감소▴기타 138명(135건)으로 13명(10.4%), 13건(10.7%) 증가2) 규모별 전년 대비 50인(억) 미만은 감소, 50인(억) 이상은 증가 ▴50인(억) 미만은 339명(333건)으로 15명(4.2%), 12건(3.5%) 감소▴50인(억) 이상은 250..

카테고리 없음 2025.05.03

2024년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현황

2024년 산업재해현황 2024년 산업재해현황지금 확인하기1. 2024년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현황 1) 수치 및 비교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1.57‱ (전체 산업 평균 0.386‱ 대비 4배 이상 높음)업종별 사망자 비중: 건설업 39.7%(328명), 제조업 22.6%, 서비스업 17.5%주요 사고 유형: 고소 추락(35%), 중장비 관련 사고(25%), 구조물 붕괴(15%)2) 인구학적 특징60세 이상 고령층 비중: 전체 사망자의 50% 이상 → 고령 노동자의 신체적 취약성과 안전 교육 미흡이 주원인으로 지목됨.특수고용노동자 사망자: 101명(전년 대비 +18명), 화물차 운전자(44명), 퀵서비스(35명) 등 포함3) 경기 변동 영향2024년 건설업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28명 감소(328명)..

카테고리 없음 2025.05.03